생활 + 기념일

삼일절 태극기 게양법: 올바르게 다는 방법 총정리

잡학무식123 2025. 2. 27. 14:57
반응형

 

삼일절이 다가오면 곳곳에 휘날리는 태극기.
하지만 정작 올바른 게양법을 모르는 경우가 많다.
국경일마다 태극기를 다는 방식이 다르다는 사실, 알고 있었는가?

이번 삼일절, 국기를 바르게 게양하는 방법을 정확히 알아보자.


📌 삼일절 태극기, 이렇게 달아야 합니다

🗓 언제?

  • 오전 7시부터 오후 6시까지 (가정에서는 24시간 게양 가능)

📍 어디에?

  • 베란다, 대문 중앙, 깃대 위쪽 (바닥에 닿지 않도록 주의)

🚩 어떻게?

  • 완전 게양 (깃봉과 깃면 사이 간격 없이 끝까지 올리기)

📢 주의할 점

  • 찢어진 태극기는 사용하지 않는다.
  • 비나 눈이 올 때는 실내에서 게양 가능.
  • 일몰 후에는 국기를 내리는 것이 원칙.

📌 국경일별 태극기 게양법 정리

기념일날짜게양 방식

삼일절 3월 1일 완전 게양
현충일 6월 6일 조기 게양 (깃봉과 간격 둠)
제헌절 7월 17일 완전 게양
광복절 8월 15일 완전 게양
개천절 10월 3일 완전 게양
한글날 10월 9일 완전 게양

💡 조기 게양(현충일 등):
깃봉과 태극기 사이에 국기 크기의 1/3 간격 띄우기.

 

완전 게양과 조기 게양(행정안전부 홈피)


📌 태극기 훼손 시 처리 방법

지자체(동사무소)에서 수거 가능
✅ 직접 폐기할 경우, 깨끗이 세탁 후 태우거나 자른 후 폐기

❌ 찢어진 태극기를 그냥 버리면 안 된다!
태극기는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국가의 상징물이기 때문이다.


📌 태극기 게양, 작은 실천이 애국입니다

삼일절, 태극기를 단다는 것은
독립운동 정신을 기억하고, 나라를 존중하는 작은 실천이다.

올바르게 태극기를 게양하고,
우리의 역사를 가슴에 새겨보자.

🇰🇷 대한독립 만세! 태극기, 잊지 말고 꼭 달자! 🇰🇷

반응형